TabNet: Attentive Interpretable Tabular Learning

본 논문의 저자는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들이 딥러닝에 비해 정형 데이터에서 학습에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접근 방법이라고 소개합니다.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정형 데이터는 대략적인 초평면(hyperplane) 경계를 지니고 있는 매니폴드(manifolds)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공간에서는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의 결정 방식이 이해(representation)하는데 더 강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TabNet은 decision tree-based gradient boosting의 장점을 살린 인공신경망 아키텍쳐이며, feature engineeringselection까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해석가능한(interpretability), 설명가능한 XAI(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라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

  • 두괄식으로 TabNet의 컨셉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입력된 정형데이터(tabular data)에서 Feature를 masking하며 여러 step을 거쳐서 학습”
    • 각 step별 feature들의 importance 파악 (설명력 확보)
    • masking 으로 중요한 feature 들만 선출해서 학습하여 성능 향상 (모델 고도화)

저희 분야에서는 정형데이터인 tabular data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 편이어서, 본 논문을 흥미롭게 읽었는데요. 정형데이터를 많이 활용하시는 분이라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Problem Definition

과거 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들의 성능비교를 했을 때, LightGBM의 성능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있고, 혹은 앙상블을 고려한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나 Catboost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더하여 Neural Network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는데, 정형 데이터의 경우에 Neural Network는 복잡하거나 깊은 레이어로 구성되지 않는 편이며, 더 깊거나 복잡하다고 성능이 눈에 띄게 좋아지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잠깐!

[LightGBM과 기존의 트리기반 알고리즘에 대한 추가 설명]

lightgbm

기존의 트리기반 알고리즘은 level wise(ex : XGBoost) 방식을 사용했고, 최대한 균형이 잡힌 트리를 유지하면서 분할하기 때문에 tree의 깊이가 최소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시간이 필요했다. LightGBM의 leaf wise 방식은 tree의 균형을 고려하지 않고 최대 손실값을 가지는 leaf node를 지속적으로 분할하면서 비대칭적인 tree가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은 level wise tree 분할 방식보다 예측 오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PCA를 활용하여 차원축소를 하거나, autoencoder를 기반으로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방식에 활용이 되는 것이 주 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CNN, MLP와 같은 딥러닝 모델은 적절한 귀납적 편향(inductive bias)의 부족으로 지나치게 Overparametrized 되어 정형 데이터 내 매니폴드에서 일반화된 해결책을 찾는데 어려움을 발생시길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딥러닝 학습 방법론을 정형 데이터 학습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유는 이미지나 다른 종류에 데이터와 정형데이터를 함께 학습(Multi-Modal)할 수 있으며 트리 기반 모델 성능의 핵심인 Feature Engineering과 같은 작업이 크게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스트리밍 데이터 학습이 용이하고 종단간(end-to-end) 모델은 Domain adaptation, Generative modeling, Semi-supervised learning과 같은 가치있는 응용 모델과 같은 표현 학습(representation learning)이 가능합니다.

2. Motivation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고성능 및 해석 가능한 표준 심층 테이블 형식 데이터 학습 아키텍처 인 TabNet을 제안합니다. TabNet은 원자료의 다른 전처리 없이 입력할 수 있고 경사하강법 최적화 방법을 통해 유연한 통합(flexible integration)이 가능한 종단간(end-to-end) 학습이 가능합니다. 또한, 순차적인 어텐션(Sequential Attention)을 사용하여 각 의사 결정 단계에서 추론할 feature들을 선택합니다. 이로인해 더 나은 해석 능력과 학습이 가능하며 숨겨진 특징을 예측하기 위해 사전 비지도 학습을 사용하여 정형 데이터에 중요한 성능 향상을 보여줍니다(Self-supervised learning).

본 논문에서 제안한 TabNet의 차별화된 아이디어와 contribution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처리 과정을 거치치 않은 raw data로도 end-to-end 학습이 가능 2) sequantial attention 과정에서 각 step마다 중요한 feature를 선별하면서 각 과정의 모델 해석과 성능 향상이 가능 3) 다양한 도메인의 데이터에서 다른 테이블 학습 모델과 비교 했을 때 분류/회귀 문제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 4) masking 된 feature를 예측하는 tabnet decoder 비지도 학습을 통한 우수한 성능을 보임

3. Method

본격적으로 TabNet architecture를 살펴보기 전에, TabNet의 feature selection 방법과, encoder, decoder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image_revise1

기존의 Feature seletion은 Lasso Regularization, Instance-wise feature selection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본 논문에서는 Hard feature selection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TabNet은 Soft feature selection을 구현하여 사용합니다. 간단히 언급하면, TabNet은 masking을 이용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sequential하게 feature selection을 하며 피드백을 주고 학습해나가는 구조입니다 (figure 1 그림 참조).

image_revise2

더하여 tabnet encoder를 통해서 feature engineering효과를 내고, decision making 부분을 통해 feature selection이 이루어집니다. encoder는 fine-tuning하면서 task에 맞게 성능을 향상시켜 맞춰갑니다.
encoder에 decoder 구조 결합하면 autoencoder 같은 자기 학습 구조를 가지고 있고, decoder 에서는 ?(물음표) 로 된 missing value 를 채워넣는 구조입니다.

TabNet encoder와 decoder의 architecture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image_revise3

우선 EncoderDecoder를 거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ncoder
Encoder는 여러 Desicion Step으로 구성되며, Step 내의 두가지 블록이 존재합니다.

  • Feature transformer 블록 : 임베딩 수행
  • Attentive transformer 블록 : trainable Mask 생성
  • Masked Feature는 다음 Step의 Input feature가 되며, 이전 step에서 사용되었던 Mask의 정보를 피드백하기에 Feature의 재사용 빈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Decoder

  • Decoder의 각 step은 feature transformer 블록에서 FC layer로 이루어지고 각 step 합산해서 reconstructed feature 결과를 산출합니다. 디코더 구조를 통해 결측치 보간 효과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EncoderDecoder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a) : TabNet encoder 의 경우, 각 decision step에 대해서 1)feature transformer, 2)attentive transformer, 3)feature masking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의사결정 단계에서 부족한 부분을 다음 의사결정 단계에서 보완하는 방식이며, 트리기반 부스팅 모델들과 유사합니다. 모델의 용어를 좀 더 구체적을 설명하면, BN : 최초 Feature에 대해 배치 정규화를 적용
    • Feature transformer : 이후에 아래의 단계 반복.
    • Attentive transformer : (d)에서 설명
    • Mask : Attentive transformer에서 나온 Mask(M[i])에 대해 feature f를 곱하여 이후 step의 Feature transformer에 들어가는 input을 조절. Mask를 통해 변수를 soft selection 함.
    • Feature transformer : (c)에서 설명
    • Split : Feature transformer의 output을 두 개로 복제하여 하나는 relu로, 하나는 Attentive transformer로 보냄
  • (b) : TabNet decoder는 각 단계에서 feature transformer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일반 학습에서는 Decoder를 사용하지 않고, self-supervised 학습을 진행할 때, 인코더 다음에 붙여져서 기존의 결측값을 보완하고 표현학습을 진행하게 됩니다.

  • (c) Feature Transformer는 4개의 네트워크 묶음으로 구성됩니다.
    • Fully Connected Layer (FC) - Batch Normalization (BN) - Gated Linear Unit Activation (GLU)로 구성된 블럭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구조를 쌓고, 블럭간의 residual skip connecion을 적용했습니다.
    • 그리고 residual outputnormalization을 위해 sqrt(0.5)를 곱했습니다. 이때, 두 레이어는 모든 decision 단계에서 공유되며, 나머지 두 레이어는 decision 단계에 의존합니다. 따라서 앞 2개의 네트워크는 모든 파라미터를 공유하며 글로벌 성향을 학습하고, 뒤에 2개의 네트워크 그룹은 로컬 성향을 학습합니다. 이어서 D개의 변수를 갖는 값들을 입력받은 feature transformersplit할 값들을 내보냅니다. 총(B,N)의 output을 내보냈을 때, 논문에서는 split 과정을 통해 d[i]와 a[i]로 나누었습니다.
  • (d) Attnetive transformer 블록으로, 현재 의사결정 단계에서 각 변수들이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 사전 정보량(prior scale information)을 통해 집계합니다. 다시말해, 현재 decision step 전에 각 feature가 얼마나 많이 사용되었는지를 집계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단일 레이어에 맵핑하여 사용되며, 계수의 정규화는 각 decision step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sparse하게 선택하고, 계수값들을 일반화(normalization)하기 위해 sparsemax를 사용하여 학습되어집니다.

4. Experiment

본 논문에서는 regression, classification task로 성능을 평가하였고, 데이터 셋의 모든 categorical value 들은 임베딩되었고, numerical value들은 전처리 없이 input으로 활용되었습니다. TabNet은 대부분의 hyperparameter에 대해 그리 예민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Instance-wise feature selection (synthetic dataset - 임의로 생성한 데이터셋 활용)

image_revise4

Table 1의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6개 임의로 생성된 데이터로 성능을 평가 –> syn1 ~ syn 6 데이터
  • syn 1~3 에서는 각 인스턴스(data row) 별로 중요한 피쳐가 같음 –> 따라서 syn 1~3 에서는 Tabnet 의 성능이 global feature selection 하는 다른 모델들과 성능이 비슷
  • syn 4~6 에서는 각 인스턴스(data row) 별로 중요한 피쳐가 다름 –> 따라서 불필요한 feature들을 instance wise로 제거해서 성능을 향상

Performance on real-world datasets (실제 데이터셋 활용)

image_revise5

Forest cover type dataset : 나무 분류 문제 / Poker Hand : 카드 분류 문제 / Sarcos : 로봇 팔 관련 데이터 / Higgs Boson : 이진 분류 문제 /Rossman Store Sales : 상점 매출 예측

다양한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XGBoost, LightGBM, Random forest, MLP 등 다양한 모델과의 비교 결과, Test accuracy, MSE 등의 평가지표에서 TabNet이 다른 모델들에 비해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그림(Figure 5)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각 스텝에서 활성화된 feature 를 시각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instance 별 중요도 또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image_revise6

그림의 하얀색 부분이 모델 학습에 사용 feature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해보자면, Syn2 dataset에서는 feature X3-X6 만 활용 되었으며 Magg 는 각 스텝의 feature importance를 결합 했을 때 나오는 결과를 시각화 한 것입니다.

5. Conclusion

저자는 tabular learning을 위한 참신한 딥러닝 아키텍처인 TabNet을 제시했으며, TabNet은 각 결정 단계에서 처리할 의미 있는 변수의 subset을 선택하기 위해 sequential attention mechanism을 활용했습니다. 선택된 특징들은 representation으로 처리되어서 다음 결정 단계에서 정보를 보내고 기여하고 있습니다. Instance-wise feature selectionmodel capacity로써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고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논문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정형 데이터보다는 비정형 데이터에 많이 집중되어 개발되어 있는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비정형데이터에서 성능을 높인 모델을 정형데이터에 적용하기에는 이론이 맞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본 모델에서 대안으로 attention mechanism이라고 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너무 좋았습니다. 또한 본 모델을 활용한다면 전처리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tree-based model처럼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또 하나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보통은 딥러닝을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해 surrogate model로 대체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해석가능성 방식을 활용하여 구현한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아주 작은 코멘트로는, 신경망모델 치고는 조절해야할 파라미터가 조금 많아 parameter search하는데 시간이 소요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형 데이터에 대한 모델 연구나 방법론이 한정적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끝없이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논문이었습니다. 특히 tabular data를 활용한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는 입장으로 TabNet을 저희 연구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코드 및 구조를 더욱더 꼼꼼히 배워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모두 한번 읽어보세요~! :)

6. Reference & Additional materials